한국과 베트남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양국 간 교역액을 1,500억 달러로 증대시키기 위한 이행 방안을 점검하고, 경제협력 확대 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베트남 산업무역부를 방문하여 응우옌 홍 지엔 산업무역부장관과 함께 제14차 한-베 산업공동위원회 및 제8차 한-베 FTA 공동위원회를 개최했습니다. 공동위원회에서는 2030년까지의 교역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원전, LNG 발전, 청정에너지 협력, 섬유·의류 산업 투자, 유통 분야 정책회의 재개 등의 사항들이 합의되었습니다. 또한 FTA 공동위에서는 수출기업의 비용 절감, 통관 절차 간소화 등을 위한 FTA 개정도 논의했습니다. 두 정부는 이행 방안 MOU와 원전 협력 MOU를 체결하고, 한국전력은 베트남 국영 송전회사와 전력망 및 에너지 신산업 분야에서의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습니다. 한편, 안 장관은 하노이에서 현지 진출 기업과 간담회를 가지며, 미국의 베트남에 대한 상호관세 조치로 인해 발생하는 기업의 애로사항을 청취했습니다. 특히, 미국이 베트남에 대해 한국보다 높은 46%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안 장관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과 베트남 정부와 지속적으로 소통할 것임을 약속했습니다. 간담회에는 삼성전자, LG전자 등 다수의 한국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습니다.
한국과 베트남 정부는 2030년까지 양국 간 교역액을 1,500억 달러로 증대시키기 위한 이행 방안을 점검하고 경제협력 확대 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베트남 산업무역부를 방문하여 응우옌 홍 지엔 산업무역부장관과 함께 제14차 한-베 산업공동위원회와 제8차 한-베 FTA 공동위원회를 개최했습니다.
산업공동위에서는 2030년 교역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원전 및 청정에너지 협력, 섬유·의류 산업 투자, 유통 분야 정책회의 재개 등에 대해 합의했습니다. FTA 공동위에서는 수출기업의 비용 절감과 통관 절차 간소화를 위한 개정 논의도 있었습니다.
두 정부는 이행 방안 및 원전 협력 MOU를 체결하고, 한국전력은 베트남 국영 송전회사와 전력망 및 에너지 신산업 분야에서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습니다.
또한, 안 장관은 하노이에서 현지 기업과의 간담회를 통해 미국의 베트남에 대한 상호관세 조치로 인한 애로사항을 청취했습니다. 미국은 베트남에 46%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안 장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및 베트남 정부와 지속적으로 소통할 것임을 약속했습니다. 간담회에는 삼성전자, LG전자 등 다수의 한국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습니다.